Nslookup 은 DNS(Domain Name Service)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알아보기 쉬운 영문도메인, 한글도메인을 컴퓨터가 알아 듣기 쉬운 IP 주소로 보여주는 프로그램입니다. 때에 따라서는 특정 도메인의 서버가 어떤 IP 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됩니다.
DNS에 대해서는 다음 링크에 더 자세한 정보가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메인의 네임서버정보와 웹서버 IP 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이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수 있습니다. 구글(http://google.co.kr)의 웹서버IP는 총 3개가 있습니다. ( 웹서버IP 가 3개밖에 안되는거보니 서버도 3개인가..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없으시겠지만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면 L4스위치와 같이 로드밸런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장비가 있으면 IP 는 하나지만 내부적으로 분산되어 수십, 수백대가 각각 한개의 서버처럼 운영되고 있을수도 있습니다.)
이번엔 메일서버를 조회해 보겠습니다. 대상은.... 유명한 구글의 메일서비스 지메일(http://gmail.com) 입니다.
와우.. 구글의 메일서버는 정말 많습니다. 메일서버정보는 우선순위(MX preference)라는것이 있습니다. 우선순위가 낮은 순서로 접속을 시도합니다. 왜 이렇게 복복잡하게 만들어 놓았냐 하면, 메일을 전달하는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낮은 순위의 메일서버에서 이를 처리하기 위해 이런 방식으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.
즉, 지메일의 모든 메일은 다음주소로 먼저 연결이 되고, 이 주소에서 처리를 못할경우 다음 순위의 서버로 연결이 됩니다. 1. gmail-smtp-in.l.google.com 2. alt1.gmail-smtp-in.l.google.com, alt2.gmail-smtp-in.l.google.com 3. gsmtp147.google.com, gsmtp183.google.com
그리고 네임서버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.
네임서버가 4개나 구성되어 있네요.
요즘 많이 등장하는 SPF 정보를 조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 대상은.. 네이버(http://naver.com입니다" .
옵션 간단요약 set type=soa <== TTL 값 확인 set type=ns <== 네임서버정보 set type=all <== 도메인기본정보 set type=a <== A 레코드 server 네임서버주소(영문,IP) <== 정보조회용 네임서버 설정
-- 추가(2008-10-09) nslookup >ping naver.com 은 naver.com 이라는 네임서버에 ping 이라는 도메인에 대한 질의를 하는것입니다.
댓글을 달아 주세요